HOME

개념

  • 브레인스토밍(Brainstorming)은 두뇌 속에 폭풍을 일으켜 짧은 시간 동안에 창의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해 내는 회의 기법이자 학습 도구이다.
  • 브레인스토밍은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다수가 모여서 자유 발언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그 어떤 내용의 발언도 비판하지 않고 자유롭게 의견을 내면서 아이디어를 전개시켜 나가는 기법이다.
  • 브레인스토밍이라는 용어는 알렉스 오스본(Alex Faickney Osborn)의 저서 ‘Applied Imagination’으로부터 대중화되었다.

목적

  • 자유분방한 분위기 속에서 참여자의 생각을 끌어내고 발전시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함이다.
  • 제품 컨셉을 구체화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영감을 얻기 위함이다.
  • 그룹 멤버들 사이의 어색함, 거리낌 줄이기 위함이다.
  • 아이디어 주장에 대한 격려 및 자극을 줄 수 있다.
  • 그룹의 전체적인 창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.

장점

  • 1
    주제의 다양성
    - 브레인스토밍은 쉽게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실행할 수 있다.
    - 집단의 작은 의사 결정부터 큰 의사 결정까지 복잡하지 않은 절차를 통해 팀의 구성원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다.
  • 2
    시너지 효과
    -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의 질보다 양에 초점을 맞춘 다량의아이디어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.
    - 구성원들은 본래 자신이 가지고 있던 기존의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의 의견을 참고해 개선하여 더욱 발전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.
    - 본인은 무심코 제시하였을지 모르는 의견도 다른 사람들에게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는데 좋은 참고가 될 수 있고,
      그러한 아이디어들이 모여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가 창출될 수 있다.
  • 3
    표현의 자유
    -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를 표출하고 확장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
      분위기와 환경 속에서 양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들을 도출하고 표현할 수 있게 한다.
  • 4
    효율적 시간관리
    (Time management)
    - 브레인스토밍은 발상 시간의 조정이 가능함 - 회의 마다 임의로 발상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.
    - 주어진 발상 시간 내에 아이디어를 생각해 보고 모든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말할 수 있다.
    - 브레인스토밍은 혼자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.
    - 타이머 등을 준비하여 발상의 시간을 정하고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정리
    - 혼자서 미리 생각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업무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

브레인스토밍을 위한 7가지 규칙

  • 판단은 뒤로 미뤄라!
    브레인스토밍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나쁜 아이디어란 없다. 팀원들과 합의하에 평가 단계로 들어가기 전까지는 아이디어 평가는 지양해야 한다.
  •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를 장려하라!
    때때로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가 혁신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. 나중에 아이디어를 현실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.
  •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라!
    ‘ 그러나’ 대신에 ‘그리고’를 염두에 둔다. 만약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가 마땅치 않다면 그것을 발전시켜 더 좋게 만드는 것에 도전해 보도록 한다.
  • 주제에 계속 집중하라!
    모든 사람이 이 원칙을 지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  • 시각적으로 표현하라!
    좌뇌와 우뇌, 논리와 창조적인 측면을 같이 사용하도록 노력한다.
  • 한 번에 하나씩 의견을 나눠라!
    아이디어를 경청한 후에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.
  • 되도록 많은 의견을 공유하라!
    아이디어의 개수에 대한 목표를 크게 잡고 목표를 넘을 수 있도록 한다. 아무도 아이디어에 대해 판단하지 않으므로 장황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다. 빠르게 아이디어를 공유하도록 한다.

절차

1
기회 문장을 준비한다.
  • “어떻게 하면 OOO 할 수 있을까?”라는 기회 문장을 준비한다.
  • 각각의 문장을 별도의 벽이나 보드에 붙이고 모두에게 포스트잇과 마커를 나누어 준다
2
참가자들에게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도록 요청한다.
  • 각 포스트잇에 하나의 아이디어를 쓰게 한다.
  • 굵은 마커(펜이 아님)를 사용하여 모든 사람들이 아이디어가 무엇인지 볼 수 있도록 한다. 이때, 브레인스토밍 7가지 규칙을 따르도록 하여 참가자들을 보호한다.
3
아이디어 도출 속도를 조율한다.
  • 아이디어가 나오는 속도가 느려지면 사람들에게 워밍업 하는 동안, 각 아이디어에 대한 장애 요소를 포스트잇에 써서 붙이도록 한다. 또는 조사 단계에서 작성된 이야기를 공유하며 생각을 촉진시킨다. (예:“어떤 아이디어가 OO가 약물 치료를 계속 받도록 결심하게 할 수 있을까?”)
4
최종 아이디어 결정하기
  • 정리된 아이디어 중 최종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할 아이디어를 결정한다.
  • 최종 아이디어 결정을 위해 가장 쉬운 방법은 모든 참가자에게 아이디어를 평가하여 투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. (스티커 기법 등)
5
새로운 기회영역을 전환한다.
  • 아이디어가 정말 나오지 않으면, 다음 기회 문장으로 전환한다. 각 기회문장당 15~30분 정도 브레인스토밍을 진행한다.

참조관련 동영상 보기 : https://youtu.be/W1h5L_0rFz8

주안점

효율적인 브레인 스토밍을 위해서는


최상단으로 이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