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념
4칸 아이디어 포스트잇
4 spaces idea post it
- 아이디어 표현의 표준화
- 브레인스토밍을 통해서 도출한 여러 명의 아이디어를 소통과 공유가 용이하도록 설명에 필요한 최소한 4가지 항목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표준화한다.
![4칸 아이디어 포스트잇](../../../images/front/concept/img_screening_concept1_11.png)
4칸 아이디어 스크리닝 보드
4 spaces Idea Screening Board
- 아이디어에 대한 판단
- 다양한 아이디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자체적으로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배치하여 판단한다.
![4칸 아이디어 스크리닝 보드](../../../images/front/concept/img_screening_concept1_21.png)
아이디어 스크리닝 프로세스 : 4칸 아이디어 스크리닝 프로세스
![4칸 아이디어 스크리닝 프로세스](../../../images/front/concept/img_screening_concept2.png)
-
- 1. 4칸 포스크잇 아이디어 발굴
- 자기 아이디어 정리를 4개의 요소를 기준으로 정리하면 1차적으로 아이디어의 장점과 구체성을 확보 가능하다.
-
- 2. 포스트잇 아이디어 공유
- 어떤 아이디어가 좋은지를 선정하기 위해서 팀원간 사전에 아이디어 공유가 필요하다
-
- 3. 4칸 아이디어 스크리닝 보드
- 2개의 판단 기준을 통해서 아이디어를 선정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이다.
-
- 4. 최종 포스트잇 아이디어 선정
- 최종적으로 선정된 아이디어를 대상으로 다시한번 다른 아이디어 보다 어떤 면이 좋은지를 논의를 통해서 최종 확정한다.
아이디어 스크리닝 프로세스 : 4칸 아이디어 포스트잇 칸별 설명
![4칸 아이디어 포스트잇 칸별 설명](../../../images/front/concept/img_screening_concept3.png)
아이디어 스크리닝 프로세스 : 스크리닝 보드에 배치
4칸 아이디어 포스트잇
4 spaces idea post it
4칸 아이디어 스크리닝 보드
4 spaces Idea Screening Board
아이디어 스크리닝 프로세스 : 판단 기준
4칸 이이디어 포스트잇
4 spaces idea post it
- 판단기준 (parameter)
- 12
- 내용
필요성, 구현성, 난이도, 시급성, 발생빈도, 중요성,
비용, 시간, 차별성 등 - 의미
- - 판단 기준은 제품·서비스 등 아이디어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, 기업의 사업 방향에 따라 관련 필요한 아이디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- 판단기준 (parameter)
- 345
- 내용
점수의 높음 / 낮음
- 의미
- - 소비자 마음에 어느 정도의 욕망/결핍이 존재하는지 정확하게 강도를 반영하기
위함이다. - - 아이디어의 내용 및 참석한 사용자의 상태를 반영하여 퍼실리테이터가 사전에
정해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.
- - 소비자 마음에 어느 정도의 욕망/결핍이 존재하는지 정확하게 강도를 반영하기
아이디어 스크리닝 프로세스 : 스크리닝 보드에 배치